한국 최초의 맥미니 뜯어 열기
작성자: Wesley 작성일:
오래 전에 했어야 할 이야기를 지금에야 하게 되었습니다. 때는 지금으로부터 정확하게 7개월 전인 2005년 1월 11일입니다.
맥월드 샌프란시스코 전시회에서 스티브 잡스는 작은 크기의 매킨토시 컴퓨터, 이름하여 '맥미니'란 것을 발표하게 되었습니다. 이 시점이 오기 전까지는 맥을 쓴다는 것은 관심을 거의 두지 않았습니다. 이미 애슬론XP 데스크탑 컴퓨터가 멀쩡하게 잘 돌아가고 있었고 호환성도 떨어지고 비싼데다 딱히 크기도 작지 않은 컴퓨터를 쓸 필요를 못 느꼈기 때문입니다. 그렇지만 맥미니를 본 순간 완전히 충격을 받았습니다. 성능이 그럭저럭 괜찮은 컴퓨터가 메인보드는 고작 한 변이 15cm 밖에 안 되는 크기에 가격은 499달러부터 시작한다니 말입니다.
흥미롭게도 이미 저에게는 이보다도 작은 컴퓨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. 소니 바이오 VGN-U50이라고, 초소형 노트북 컴퓨터인데 크기는 3.5인치 하드디스크 만했습니다. 이걸로 이미 '작은 컴퓨터를 소유한다'는 필요를 충족시킨 게 아닌가 했는데, 그게 아니었습니다. 맥미니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대체할만한 잠재력이 보였던 것입니다. VGN-U50은 계속 '2차 기기', 즉 휴대용 기기로써 어디서든 들고다니면서 쓰는 역할을 하게 되지만 여전히 집에 놔두고 쓸 수 있는 작은 컴퓨터가 있었으면 했습니다. 바로 여기에 적합한 게 맥미니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

맥미니를 든 잡스
흥미롭게도 이미 저에게는 이보다도 작은 컴퓨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. 소니 바이오 VGN-U50이라고, 초소형 노트북 컴퓨터인데 크기는 3.5인치 하드디스크 만했습니다. 이걸로 이미 '작은 컴퓨터를 소유한다'는 필요를 충족시킨 게 아닌가 했는데, 그게 아니었습니다. 맥미니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대체할만한 잠재력이 보였던 것입니다. VGN-U50은 계속 '2차 기기', 즉 휴대용 기기로써 어디서든 들고다니면서 쓰는 역할을 하게 되지만 여전히 집에 놔두고 쓸 수 있는 작은 컴퓨터가 있었으면 했습니다. 바로 여기에 적합한 게 맥미니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
악명높은 현실왜곡장(Reality Distortion Field)이 이날 상당히 세었던 것 같은데, 스티브 잡스가 기조연설을 끝내고 24시간도 채 안되어서 미국에 있는 제 친구 앤디에게 미국측 애플 스토어에 주문을 넣어달라고 부탁했기 때문입니다. 애플 코리아가 물량을 받으려면 한참 걸릴 것 같아서 아예 본사에서 직접 주문을 해서 시간을 줄여보기로 한 것입니다. 실제로 애플 코리아는 한국에 첫 물량을 2월 2째주 즈음에 공급했습니다. 운 좋게도 사이트에 주문이 2주 밀렸다고 표시가 되기 전에 접수되었습니다. 주문 결과를 보니 1월 20일 (공식 출시일)에 배송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. 다시 말해 첫 물량을 받게 되는 것이었습니다.

알라스카를 거친 뒤 미국 내의 몇몇 물류센터를 통과하고 앤디네 집에 21일 도착했습니다. 페덱스 배달부가 사실은 바로 전 날 집에 오긴 했는데 집에 아무도 없는 것으로 착각하고 돌아가는 바람에 본의 아니게 하루 지연이 되었습니다. 앤디는 물건을 받게 된 다음 제가 다른 웹사이트에서 주문을 부탁했던 것들과 같이 넣어 재포장한 뒤 곧바로 미국 우체국의 국제특급우편(EMS)을 사용하여 한국으로 배송했습니다. 결과적으로 직선거리로는 1000km도 안될 거리를 이 맥미니는 지구 반 바퀴 남짓 돌아서 오게 된 셈입니다.

날카롭게...
오기를 기다리는 동안 저도 준비를 좀 했습니다. 대표적으로 근처 대형 할인점에 가서 퍼티 나이프(putty knife)를 하나 샀습니다. 이것은 맥미니를 열기 위한 '공식' 도구인데, 처음에 두꺼운 걸 샀다가 가늘고 유연한 게 더 좋다는 말을 듣고 그건 환불을 받은 뒤 좀 더 잘 구부러지는 것으로 샀습니다. 2000원도 안 했는데 모서리가 거칠어서 모서리는 사포질을 하고 '삽입 부위'를 그림에 보이듯이 뾰족하게 만들었습니다.

퍼티 나이프
다른 각도에서 보면 이랬습니다. 한편, 맥미니를 뜯은 즉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도록 1GB짜리 DDR SDRAM도 샀습니다. 기본 탑재된 256MB로는 충분치 않을 것 같다는 생각때문이었습니다.

세관에 걸림
물건이 26일 한국측 세관에 도착했습니다. 통관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추적 페이지에 세관 도착이 되었다는 말이 뜨는대로 통관 담당 우체국으로 갔습니다. 모든 과정을 다 밟고 (서류 작성, 관세 납부 등) 한 시간 정도 후인 1월 26일 저녁 6시에 한국 최초의 맥미니는 주인과 대면하게 되었습니다.

맥미니 대접
맥에 관심이 있는 지인 한 분을 곧바로 전화 걸어서 패스트푸드점에서 실물을 보여주었습니다. 그리고 저의 집으로 같이 가서 부팅하는 것도 보기로 했습니다.

개봉식
회색 상자를 침대에 올려놓고 열어보니 자그마한 기기와 함께 설치 디스크가 여러 개 나왔습니다. 내용물을 모두 꺼낸 뒤 작동시켜보기로 했습니다.

작은 것들의 대면
근데 그보다 앞서 크기 비교를 해봤습니다. 앞서 언급한 VGN-U50을 맥미니 위에 올려봤습니다. 맥미니도 작지만 (길이가 16.5cm) 이 노트북 컴퓨터도 무척 작은 걸 알 수 있었습니다.

첫 부팅
선을 련결한 후 전원 버튼을 누르니 효과음이 나고 아무런 문제 없이 부팅이 되었습니다. 상당히 기쁜 순간이었습니다. 메뉴를 보니 맥OS X 10.3.7을 돌리고 있고 메모리는 256MB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걸 업그레이드해야 했습니다. 이 시점에서 그 지인 분은 밤이 깊어오는지라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만 저는 슬슬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

수술 전
주인 만난지 6시간도 안되어서 벌써 뜯기게 생긴 맥미니였습니다. 도구를 준비한 뒤 카메라를 켜고 작업에 들어갔습니다. 다음은 록화한 비디오에서 캡쳐한 장면들입니다.

삽입
처음이 가장 힘들다고 그러는데, 정말로 퍼티 나이프가 틈새에 넣기에는 좀 힘들었습니다. 몇 번 흔들어보고 나니..

이동 개시
퍼티 나이프를 틈새에 넣고 움직일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. 캔 뚜껑 따듯이 틈새를 벌려보려고 했습니다.

열리기 시작
내부 걸쇠가 상당히 잘 결속되었는지, 결국 쇠자와 퍼티 나이프를 동시에 넣어서 한 모서리 측의 걸쇠를 벌려서 틈새를 열기 시작했습니다.

좀 더 흔들어
그 다음은 비교적 쉬웠습니다. 퍼티 나이프를 다른 모서리에도 넣어서 흔들어서 나머지 걸쇠를 벌렸습니다.

거의 다 됨
걸쇠가 모두 풀리게 된 후 기기 뒤쪽을 위로 밀어올렸습니다. 그러고 나니 기기 아랫부분이 커버에서 미끄러져 나왔습니다.

개조 준비 완료
결국 기기 내부는 중국에서 조립된 뒤 1주일만에 다시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. 좀 더 작업을 하게 되었지만 그건 다음에 이야기하기로 하겠습니다.